본문 바로가기

2

물속에서는 왜 스마트폰이 잘 안 될까? 우리는 스마트폰 하나로 지구 반대편 사람과도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런데 바다 속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이 모든 연결이 단절된다. 와이파이도, LTE도, 블루투스도 작동하지 않는다. 왜일까? 단순히 중계기가 없어서가 아니라, 물이라는 매질이 무선 전파를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도대체 무선통신은 왜 물속에서 제한적일까? 이 현상을 이해하려면 먼저 무선통신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무선통신은 ‘전자기파’를 이용한다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무선통신 기술은 전자기파, 즉 전파(RF, Radio Frequency)를 기반으로 한다. 이 전파는 공기 중에서는 아주 잘 퍼져나가며, 벽이나 사람 같은 일상적인 장애물도 어느 정도는 뚫고 나간다. 하지만 매질이 바뀌어 공기에.. 2025. 4. 18.
자취생은 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자취 고수의 팁을 알려준다.자취생은 손에 물 묻히고, 세제를 묻혀 가면서 설거지를 할 필요가 없다.설거지를 아예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키포인트다.뜨거운 물에 휘휘 둘러서 다음 요리를 하면 그만이다. 수저도 마찬가지다.더럽지 않냐고?방금 밥을 먹던 수저를 잠시 내려놓고, 갑자기 참치캔이 먹고 싶어서 편의점에 다녀와서 그 수저를 계속 사용하면 더러운 것인가.식사가 중단되면 더러움이 유발되나?내가 먹었던 그릇과 수저는 식사 행위의 연속으로 보면 된다.게다가 지금 사용하는 그릇은 적어도 뜨거운 물로 헹구는 청결작업을 거친 것이다.잔류세제를 먹는 것보다 낫다고 볼 수도 있다.  물에 담가 두었다가 뜨거운 물로 헹구고 계속 사용하면 된다 물론 전제조건은 있다.  해당 식기는 혼자.. 2024.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