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56 웨이더 입고 낚시할 때, 수심은 어디까지 들어가도 될까? 오늘 무의도에서 웨이더를 입고 낚시를 하다가 문득 걱정이 들었다."내가 지금 이 깊이에 들어가도 괜찮은 걸까?"바닷물이 무릎을 넘기 시작하자 움직임이 확실히 둔해지고, 물살의 저항이 몸을 무겁게 감쌌다. 그리고 마침 지나가던 낚싯배 한 척. 그 배가 만든 파도가 밀려올 때 몸이 휘청하는 걸 느꼈다.불현듯 이런 생각이 들었다."만약 이대로 넘어진다면, 나는 괜찮을까?"웨이더는 보통 가슴팍까지 올라오는 디자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한다.‘가슴까지 물에 들어가도 괜찮겠지?'하지만, 이건 오해다.안전 가이드와 여러 낚시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무릎 이상, 특히 허벅지를 넘는 수심으로는 들어가지 마세요."왜일까? 물살이 약하거나 수위가 낮은 곳은 비교적 안전하다. 하지만 수심이 깊어지면 상.. 2025. 5. 21. 대통령 선거 기호 번호, 어떻게 정해질까? 대통령 선거철만 되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다.“기호 1번 후보가 유력하다더라.”그런데 여기서 문득 드는 의문.기호 1번은 왜 1번일까? 그 번호는 누가, 어떤 기준으로 정해주는 걸까?결론부터 말하자면,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기호는 정당의 국회 의석수에 따라 정해진다. 단순히 여당이라고 해서 1번을 받는 것이 아니라, 국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정당의 후보가 기호 1번이 된다.기호 번호 부여 방식, 이렇게 정해진다대통령 선거 후보자에게 부여되는 기호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정해진다.1. 국회 의석이 있는 정당(원내정당)기호 1번: 후보 등록 마감일 기준, 국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정당의 후보기호 2번, 3번...: 그다음으로 의석수가 많은 정당의 후보 순서대로 배정의석수가.. 2025. 5. 19. 2020년 이후 갤럭시 S 시리즈, 크기와 배터리 실사용 시간 나는 아직도 갤럭시 S10 5G를 잘 쓰고 있다.카메라도 괜찮고, 배터리도 여전히 버텨준다.하지만 요즘 들어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한 손 폰으로 쓰기에 조금 더 편한 폰을 찾게 되었다.그래서 최근 몇 년간 나온 갤럭시 S 시리즈의 크기와 배터리 성능이 궁금해졌다.개인적으로 S22 6.1인치 모델을 중고로 구매하는 것 가성비 면에서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스마트폰을 고를 때는 크기와 무게, 배터리 용량도 중요하지만 실제 사용시간, 즉 SOT(Screen On Time)까지 함께 살펴보면 선택이 훨씬 쉬워진다.2020년부터 2024년까지 출시된 갤럭시 S 시리즈 플래그십 모델들의 화면 크기, 배터리 용량, 실사용 시간을 정리해봤다. 📱 갤럭시 S 시리즈 주요 모델 비교 (2020~2024)출시년도모델명.. 2025. 5. 19. 스님의 직업은 '스'인가 가끔 말장난처럼 던지는 질문이 있다.“스님의 ‘님’은 왜 붙은 거야? 그럼 직업이 ‘스’인가?”이 농담 같은 말 속에도 언어와 문화의 진짜 맥락이 숨어 있다.우리가 흔히 부르는 ‘스님’이라는 말은 단순한 직업 명칭이 아니다.이 말은 불교 승려에 대한 존칭어다.즉, 높여 부르기 위한 말이라는 뜻이다. 원래 불교 승려를 뜻하는 한자어는 ‘승(僧)’이다.하지만 ‘승’은 한국어 일상 회화 속에서 조금 부드럽게 변형되어 ‘스’가 되었고, 여기에 존댓말 접미사인 ‘님’이 붙어서 ‘스님’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즉, ‘스님’이라는 단어 자체가 높임의 표현이다.다시 말해, ‘스’가 직업이고 ‘님’이 존칭이라기보다는, 전체가 존칭어로 굳어진 말이다.그래서 “스님님”이라고 다시 높이지는 않는다.‘스님’이라는 단어 하나만으.. 2025. 5. 17. 종합소득세 배당소득 외국납부세액 공제 (삼성증권, 미래에셋, 홈택스 서류)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홈택스에 접속했다.나는 은퇴 후 별다른 소득이 없는 사람이다.소득이라 해봐야 예금 이자나 주식 배당금 정도다.이런 금융소득은 대부분 원천징수로 세금을 떼고 들어오니,홈택스에서 별다른 수정 없이 그냥 제출만 누르면 끝일 줄 알았다.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나도 그랬다.그런데 깜짝 놀랄 일이 벌어졌다.국세청이 미리 불러온 자료엔 수백만 원의 세금이 매겨져 있었던 것이다.이게 뭐지?배당소득이 많아서 그런가?이자와 배당 소득이 2,000만 원이 넘으면 종합과세 대상이라던데,혹시 그 때문일까?그렇다고 해도 이상했다.나는 이미 배당소득세를 충분히 냈고,비교과세 원칙에 따라 기존에 낸 배당소득세율이 종합소득세율보다 높은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종합소득세율을 적용하더라도 추.. 2025. 5. 9. 1000만 낚시인들이 검증한 모기 기피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낚시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여름철 모기의 습격이 얼마나 괴로운지 잘 알 것이다. 특히 해질 무렵부터 새벽까지 낚시를 해야 할 때, 모기 기피제 하나가 생존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지금 소개하는 모기 기피제는 낚시꾼들 사이에서 은근히 소문이 퍼진 제품이다. 모르는 사람도 여전히 많지만, 아는 사람들은 꼭 챙긴다. 특히 낚시 유튜버 "허기자TV"가 사용하는 장면이 포착되면서 더욱 신뢰를 얻었다. 몇 년 전 이야기지만, 허기자가 직접 들고 다닌다는 사실이 이 제품의 가치를 말해준다. 바로 신신제약의 모스키토 밀크다.(제약사와는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다. 신신제약에서는 커피 쿠폰이라도 한 장 보내주면 좋겠다.😁).. 2025. 4. 30. 광어는 두 글자니까 왼쪽, 도다리는 오른쪽 낚시를 하거나 시장에 가면 광어와 도다리를 구분해야 할 때가 많다. 그런데 막상 보면 둘 다 납작하고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리기 쉽다. 가장 쉬운 방법은 바닥에 생선을 놓고 머리 쪽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이때 눈이 어느 쪽에 있는지 보면 된다. - 눈이 왼쪽에 있으면 광어다.- 눈이 오른쪽에 있으면 도다리다. 이것만 기억하면 된다. 하지만 이것조차 헷갈릴 수 있다. 그래서 추가로 글자 수로 외우는 방법도 추천한다. - '왼쪽'은 두 글자다. 광어도 두 글자다.- '오른쪽'은 세 글자다. 도다리도 세 글자다. 왼쪽, 광어. 오른쪽, 도다리. 이렇게 글자 수까지 기억해두면 헷갈릴 틈이 없다. 2025. 4. 29. 와이드갭 훅 사이즈, #1 #2 1/0 2/0 숫자 표기 뜻 낚시를 하다 보면 훅(바늘)의 사이즈 표기에 종종 헷갈릴 때가 있다. 특히 와이드갭 훅을 고를 때 '#1', '#2'와 같은 숫자형 표기와 '1/0', '2/0' 같은 분수형 표기가 혼재되어 있어 어떤 크기를 골라야 할지 당황스러운 경우가 있다. 먼저, '#숫자' 형식으로 표기된 사이즈는 숫자가 커질수록 훅의 크기가 작아진다. 예를 들어 '#1' 사이즈가 '#2'보다 크고, '#2'는 다시 '#4'보다 크다. 따라서 '#8'처럼 숫자가 커질수록 실제 바늘은 작아지는 식이다.반대로 '1/0', '2/0', '3/0' 같은 분수형 표기는 숫자가 커질수록 바늘의 크기가 점점 커진다. 즉, '1/0'보다 '2/0'가 더 크고, '5/0'은 굉장히 큰 훅이다.왜 이렇게 복잡하게 분수형 표기를 만들었을까? 원래 .. 2025. 4. 27. 이전 1 2 3 4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