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점만 간단히

당구장 하루 38만 원 매출, 과연 얼마나 남을까?

by ▙ ▚ ▛ ▜ 2025. 2. 11.

당구장은 여전히 남성들에게 인기 있는 스포츠다.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당구장 요금은 큰 차이가 없다.
4명이 함께 방문해도 1인당 요금이 높지 않아 객단가가 낮은 편이지만, 운영 비용이 적어 수익률이 괜찮은 업종이다.
그렇다면 하루 매출이 38만 원이라면 실제 수익은 얼마나 될까?

매출 및 비용 분석

당구장의 월 매출은 1,166만 원이며, 모든 매출이 홀 매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비용을 차감해 보자.

  1. 재료비(소모품 구매): 매출의 2.0%인 23만 원 차감
  2. 임대료: 100평 지상층 기준으로 400만 원 차감
  3. 인건비: 파트타임 1명, 점주 운영 기준으로 150만 원 차감
  4. 로열티: 개인 운영이므로 0원 차감
  5. 카드 수수료: 연매출 3억 원 이하로 0.5% 적용, 약 5만 원 차감
  6. 배달 수수료: 배달이 없으므로 0원 차감
  7. 전기·수도요금 등 관리비: 93만 원 차감
  8. 인터넷, 세무 기장료 등 기타 비용: 24만 원 차감
  9. 세금: 약 38만 원 차감

최종 수익 계산

모든 비용을 차감한 후 남는 월 순이익은 431만 원이다.
이는 매출 대비
37.0%의 수익률을 의미한다.

창업 비용과 투자 회수 기간

당구장 창업 비용은 100평 기준 2억 1,825만 원(상가 매입 비용 제외)이다.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1개월로 계산된다.
즉, 투자금 회수까지 약 4년 3개월이 걸린다는 뜻이다.

이 분석은 당구장 예상 매출을 기준으로 보수적으로 40% 수익률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실제 운영 환경에 따라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다.
입지와 운영 방식에 따라 변동성이 크므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매출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사이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 사이트가 느려 터졌으니 참고... 😅

🔗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사이트 링크

 

파리바게트가 빵을 아무리 많이 팔아도 월 1천만 원을 벌지 못하는 이유
오른쪽에 (공개)라고 적힌 버전을 열어야 하단에 '정보공개서 보기' 메뉴가 표출된다.

 

정보공개서 열람 상세 화면에서 오른쪽에서 버전을 선택할 수 있는데, (공개)라고 적힌 버전을 선택해야,
하단에 '정보공개서 보기' 메뉴가 표출된다.

다른 버전에서는 이 버튼이 보이지 않는다. 참고~

파리바게트가 빵을 아무리 많이 팔아도 월 1천만 원을 벌지 못하는 이유

댓글